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려대학교/동아리/관현악단

덤프버전 : (♥ 0)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고려대학교/동아리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존치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토론 - 존치하기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50







고려대학교 관현악단
KOREA UNIVERSITY ORCHESTRA
파일:KOREA UNIVERSITY ORCHESTRA LOGO2.jpg
창단1970년
위치학생회관 612호
홈페이지파일:유튜브 아이콘.svg[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2]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소개
2. 학기중 활동
2.1. 팝스 (POPS)
2.2. 딱스 (TAKKS)
2.2.1. 역대 딱스
2.3. 파이퍼스 (Pipers)
2.4. MC (Mozart Chamber)
2.5. 집회
2.5.1. 역대 집회
2.6. 앙상블 발표회
3. 방학중 활동
3.1. 연주회 준비
3.2. 캠프
3.2.1. 캠프 일정
4. 연주회
4.1. 신춘음악회 [3]
4.2. 정기연주회
5. 정단원
5.1. 정단원이란?
5.2. 정단원의 권리와 의무
5.3. 정단원 자격 상실 및 회복
6. 동아리 부서
7. 모집 악기
7.1. 관악기
7.2. 현악기
7.3. 타악기
8. 졸업 후 활동
9. 여담




1. 소개[편집]


파일:고려대학교 관현악단 단체사진.jpg
고려대학교 관현악단
고려대학교 관현악단 제 46회 정기연주회 (2018)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고려대학교 소속의 관현악단.
고려대학교 중앙동아리 중 손에 꼽히는 깊은 역사를 자랑한다. 다른 아마추어 오케스트라들과 달리 악기를 배우고 싶었지만 기회가 없어 배우지 못한 사람, 오케스트라에서 연주하고 싶은 사람 모두가 제한없이 단원이 될 수 있다.

고려대학교 최대 규모의 중앙동아리인 관현악단은

음악대학이 없는 고려대학교에서 클래식을 사랑하는 단원들이

진지한 음악활동을 펼치며 명실상부한 예술지킴이로 활동하고 있습니다.[4]


2. 학기중 활동[편집]


학기중 활동
팝스딱스[5]파이퍼스MC집회
모든 소모임은 19시부터 시작되며 1시간반에서 2시간정도 합주를 한다. 매 학기 중간고사 기말고사 기간에는 1주일간 활동이 없다. 학기가 끝나갈 때 쯤 앙상블 발표회[6]와 학기말 오디션이 있다.

코로나19 사태가 심했던 2020년부터 2022년 1학까지릇 제대로 된 학기 중 활동이 진행되지 못하고 있었다. 2022년 2학기부터 학기 중 활동이 다시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2.1. 팝스 (POPS)[편집]


대부분의 동아리원들의 동아리 입단 후 처음 나가는 모임이다. 06학번 선배가 처음 만들었으며 매주 월요일 마다 진행되며 주로 영화 OST나 간단하고 신나는 곡을 한다. 주로 그 해의 신입생들과 2학년들이 주를 이루어 진행된다. 관악기 현악기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자유로운 모임. 팝스 지휘는 그 학기 팝스장들이 섭외해 온다. 다른 모임과 똑같이 연습이 끝나고 항상 뒷풀이가 있으며 가장 재미있다.

2.2. 딱스 (TAKKS)[편집]


동아리 생활을 오래한 고학번 단원들이 나가는 모임이다.[7] 2022년 2학기 16학번 이형섭 단원이 처음 만들었으며 매주 화요일마다 정해진 곡을 연습한다.

2.2.1. 역대 딱스[편집]


년도학기지휘자작곡가영상
20222학기이형섭DvořákSymphony No.8 in G major, Op. 88
SibeliusKarelia Overture, Op.10

2.3. 파이퍼스 (Pipers)[편집]


1991년에 시작된 관(Pipe)악기 사람들의 모임. 매주 수요일마다 진행되는 관현악단내 윈드앙상블 모임이다. 관악기, 타악기로 이루어진 곡을 해 재미나게 즐길 수 있는 모임이다. 더블베이스와 첼로가 합류하는 경우는 많다. 2008년 부터는 강융학 선생님의 지휘와 편곡으로 매해 파이퍼스만의 연주회를 한다. 격식과 절제의 파이퍼스로 뒷풀이가 항상 클린하다. 고학번들도 많이 오 뒷풀이가 상당히 고급지다. 평소 뒷풀이에 타파트 사람들도 자주 놀러온다. 왠지는 모르지만 앙상블 발표회의 시작은 항상 파이퍼스다.

2017년 제10회 연주회에서는 극악의 난이도인 스트라빈스키의 불새를 연주해냈으며 2018년 12월 22일 제11회 파이퍼스 연주회를 성황리에 마쳤다.

2017년 제10회 연주회때는, 뒷풀이비 하라고 졸업생 선배들이 주신돈이 합계 몇백만원이 넘었다고 하며 코로나19 사태 이후로 활동이 중단된 이후 오랜만에 2021년 2학기에 파이퍼스를 진행했다.

2.4. MC (Mozart Chamber)[편집]


MC는 매주 목요일날 진행되는 현악기 앙상블 모임이다. 기본적으로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베이스가 주를 이루고, 곡에 따라서 관악기가 일부 참여하기도 한다. 선배님들의 도움을 받아 바이올린, 첼로, 클라리넷 등의 협주곡을 연주하기도 한다. 매 학기의 마지막 달에 진행되는 앙상블발표회에서 항상 마지막을 장식하고, 이에 맞춰 포스터를 제작하여 동아리방 벽에 붙여두는 것이 관습이 되었다.(2016년도 2학기~) 언젠가 동방 한 쪽 벽면이 전부 MC 포스터로 도배될지도.. MC 뒷풀이는 항상 핫하다bb

2.5. 집회 [편집]


집회는 정단원이 되기 위해 가야하는 필수 모임이다. 매주 금요일날 진행되며 주로 교향곡을 연습한다. 연습이 끝나고 회장님의 공지사항이 있다! 학기당 3번이상 참여하지 않으면 정-짤!(짤리면 다음학기에 연속 5번 나와야한다. 정짤당하지 않도록 하자.) 집회 뒷풀이에 오면 웃기게생긴 섭외부장이 항상 참여하여 일을 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구경하고 싶으면 꼭 참석하길 바란다! 집회 첫날에는 음악세미나가 열린다! 집회에서 하는 음악을 들어보는 시간이니 오티에 필참하면 좋을듯하다(2018년~) 또한 매학기 마지막 집회 때는 연주회 공지가 있다. 그리고 신청자에 한해서 향상음악회[8]가 집회 직전에 열린다. 관심있는 단원은 신청해서 자신의 실력을 보여주자!

2.5.1. 역대 집회[편집]


[ 펼치기 · 접기 ]
년도학기회장단지휘자작곡가영상
20131학기49대 회장단임종인ElgarVariations on an original theme Op.36 ‘Enigma’-“Nimrod”
ElgarPomp and Circumstance, Op. 39, March No. 1 in D major
20132학기50대 회장단장원준
20141학기50대 회장단이원범
20142학기51대 회장단이슬비SchubertSymphony No. 9 in C major, D 944 1st movement
20151학기51대 회장단심수빈TchaikovskySymphony No. 5 in E minor, Op. 64 4th movement영상
영상
BizetCarmen Suite No.1 Prelude, Argonaise, Les Toreadors
20152학기52대 회장단최성규BeethovenSymphony No.3 in E flat Major, Op. 55 1st movement영상
20161학기52대 회장단박종균RossiniLa gazza ladra Overture영상
영상
BeethovenSymphony No.5 in C minor, Op.67 4th movement
20162학기53대 회장단이원준MahlerSymphony No. 1 in D major 2nd movement
BeethovenSymphony No. 7 in A major, Op. 92 2nd movement
20171학기53대 회장단신지수BeethovenCoriolan Overture, Op 62영상
BeethovenSymphony No.5 in C minor, Op.67 1st movement
20172학기54대 회장단송진우TchaikovskySymphony No. 6 in B minor, Op. 74 2nd movement영상
영상
DvořákSymphony No. 9 in E minor, Op. 95 1st movement
20181학기54대 회장단이선교TchaikovskySleeping Beauty Suite Op.66a - No. 5: Valse영상
영상
TchaikovskySymphony No. 5 in E minor, Op. 64 1st movement
20182학기55대 회장단김은비BrahmsSymphony No. 2 in D major, Op. 73 1st movement영상
영상
TchaikovskySwan Lake Suite, Op.20 - Waltz
20191학기55대 회장단이동근SchubertSymphony No. 8 in B minor, D 759 1st movement영상
영상
MendelssohnSymphony No. 3 in A minor, Op. 56 4th movement
20192학기56대 회장단조원준TchaikovskySymphony No. 5 in E minor, Op. 64 2nd movement영상
BeethovenSymphony No. 7 in A major, Op. 92 1st movement
20201학기56대 회장단이성찬TchaikovskyEugene Onegin, Op. 24, Act II Scene 1: Waltz영상
SibeliusSymphony No. 1 in E minor, Op. 39 1st movement
20202학기57대 회장단김세준TchaikovskySleeping Beauty Suite Op.66a - No. 5: Valse[1]
BorodinSymphony No. 2 In B Minor, Op.5 1st movement
20211학기57대 회장단최동인Johann Strauß II Emperor Waltz[2]
BrahmsSymphony No.3 In F major, Op.90 4th movement
20212학기58대 회장단이형섭DvořákSymphony No. 8 in G major, Op.88 1st movement[3]
SibeliusSymphony No. 2 In D major, Op.43 4th movement
20221학기58대 회장단김민석DvořákSymphony No. 7 in D minor, Op.70 1st movement[4]
OffenbachOrpheus in the Underworld Overture
20222학기59대 회장단이우준BeethovenSympony No.8 in F major, Op.98 1st movement
BeethovenSymphony No.3 in E flat Major, Op. 55 1st movement
20231학기59대 회장단이용정BrahmsSympony No.1 in C minor, Op.68 4th movement
[1]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취소 [2]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취소 [3]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취소 [4] 대관문제로 인한 앙상블 발표회 취소


2.6. 앙상블 발표회[편집]


한 학기동안의 활동을 마무리하는 행사. 각 소모임과 집회에서 연습한 곡뿐만 아니라 개인적으로 앙상블 팀을 꾸려 발표하는 자리이다. SMTC, WMTC기간에도 진행하니 한번 쯤은 참여해보자. 정통 클래식부터 가벼운 애니메이션 주제가까지 다양한 장르의 팀이 나온다. [9]

3. 방학중 활동[편집]



3.1. 연주회 준비[편집]


매년 봄에는 신춘, 가을에는 정기 연주회를 연다.[10] 수십명의 방학을 갈아넣는 연주회이니 인촌기념관으로 꼭 보러오자. 연주회는 모든 정단원, 준단원이 참여할 수 있다.[11]

연주회 기간 중반즈음에 조오디션이 있는데 험악한 분위기일 때도 있고 유쾌한 분위기일 때도 있다. 첫조에선 무섭다고 소문난 수석이 마지막조에선 착하다고 소문이 나기도 한다. 연주회는 보통 3곡+앵콜,교가로 구성되며 1부, 2부로 나눠 진행된다. 때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서곡 협주곡 교향곡 혹은 모음곡과 교향곡을 한다. 따라서 연주회 준비기간에 마스터하기위해 두달을 아낌없이 갈아넣는다.

3.2. 캠프[편집]


여름에 가는 캠프를 SMTC (Summer Music Training Camp), 겨울에 가는 캠프를 WMTC (Winter Music Training Camp) 라거 한다.

강원도 양양군 낙산해수욕장 앞에 위치한 고려대학교 낙산수련관에서 진행하며 전날 술을 얼만큼 마셨든 간에, 아침 9시 전체 연습에는 꼭 참여해야 한다. 아침 일정이 파트연습으로 잡힐 경우 수석진을 술로 죽여 일정을 취소시키는 사람들도 있으며 바닷가가 걸어서 2분거리 내에 있어 일출을 보러 밤새는 사람들도 많다. 캠프를 가는 일반단원들은 마니또를 하며 21시 전체연습이 끝난 후 파트모임, 앙상블 발표회 등 다양한 행사가 있다.

3.2.1. 캠프 일정[편집]


[ 펼치기 · 접기 ]
1일차2일차3일차4일차5일차
08시 ~ 08시 45분아침식사
08시 45분 ~ 09시세팅 & 튜닝서울로 출발
09시 ~ 12시집합 & 출발전체연습
or
파트연습
12시 ~ 13시 45분점심 식사
13시 45분 ~ 14시세팅 & 튜닝도착
짐 정리 후 해산
14시 ~ 17시 30분도착 짐정리
및 연습
전체연습
or
파트연습
17시 30분 ~ 18시 45분저녁식사
19시 ~ 22시전체연습
or
파트연습
22시 ~ 24시섭외부 게임음악부 퀴즈앙상블 발표회파트 모임
00시 ~ 02시친목의 시간
02시 ~ 08시휴식

일정은 매 연주회마다 조금씩 바뀔 수 있다.


4. 연주회[편집]



4.1. 신춘음악회 [12][편집]


[ 펼치기 · 접기 ]
지휘자협연자연도작곡가수석진회장단포스터 & 영상
28회김영언왕혜진2012TchaikovskyEugene Onegin ‘Waltz’악장김혜진48대
회장단
포스터
영상
영상
영상
영상
영상
영상
영상
영상
영상[* 앵콜]
LaloConcerto for Cello and Orchestra 2nd Vn장나래
BrahmsSymphony No.4, Op. 98Va김승찬
Vc김민지
Cb김남희
Wind김은지
Percussion
29회김영언박경선2013TchaikovskyRomeo and Juliet Fantasy Overture 악장손우희49대
회장단
영상
영상
영상
영상
영상
영상
LisztConcerto for Piano and Orchestra No.12nd Vn윤혜정
TchaikovskySymphony No.1, Op. 13Va이원범
Vc맹은지
Cb김조은
Wind김정연
Percussion
30회김영언2014OffenbachOrpheus in Underworld Overture1st Vn민봄50대
회장단
RavelBolero2nd Vn최예슬
BeethovenSymphony No.5, Op. 67Va유준엽
Vc최정민
Cb박종선
악장 &Wind 최준하
Percussion
31회김영언박경선2015TchaikovskyThe Sleeping Beauty Suite 'Waltz', Op.66a 악장이슬비51대
회장단
영상
Rachmaninoff Piano Concerto No.2, Op.182nd Vn박소미
TchaikovskySymphony No. 4, Op. 36Va권재상
Vc민창희
Cb
Wind최성규
Percussion
32회김영언배수환2016Johann Strauss II Die Fledermaus Overture 악장안우찬52대
회장단
파일:KUO 32th Spring Concert poster.jpg
영상
Mendelssohn Violin Concerto in E minor, Op. 642nd Vn이원도
TchaikovskySymphony No. 5 in E minor, Op. 64Va유영연
Vc장지선
Cb
Wind이선교
Percussion
33회최현이2017TchaikovskyNutcracker Suite, Op.71a악장최예슬53대
회장단
파일:KUO 33th Spring Concert poster.jpg
영상
TchaikovskySwan Lake Suite, Op.20a2nd Vn안예리
SchumannSymphony No.3 in E flat majorVa김은비
Vc박종균
Cb
Wind박성은
Percussion
34회신은혜이상원2018BerliozLa Damnation de Faust
'Marche Hongroise', Op. 24
악장장재혁54대
회장단
파일:KUO 34th Spring Concert poster.jpg
영상
ChopinPiano Concerto No. 1 in E minor, Op. 11 2nd Vn이승현
BrahmsSymphony No. 1 in C minor, Op. 68Va김범서
Vc신지수
Cb윤일능
Wind이동근
Percussion
35회이은구2019Rimskii KorsakovThe Tsar's Bride Overture악장정승호55대
회장단
파일:KUO 35th Spring Concert poster.jpg.jpg
영상
TchaikovskyThe Sleeping Beauty (suite), Op.66a2nd Vn이소현
DvořákSymphony No.9, Op.95Va김혜미
Vc김세준
Cb
Wind강신애
Percussion
36회 [1]이은구박진형2020SchumannManfred Overture, Op.115악장김민석56대
회장단
파일:KUO 36th Spring Concert poster.jpg.jpg
Rachmaninoff Piano Concerto No.2 in C minor, Op.182nd Vn강이수
DvořákSymphony No.7, Op.70Va김승욱
Vc박지은
Cb
Wind강한성
Percussion
37회 [2]이은구2021BrahmsTragic Overture Op.81악장이용정57대
회장단
DvořákSuite in A major 'American' Op.98b2nd Vn김지윤
GlazunovSymphony No.4, Op.48Va윤예원
Vc이상은
Cb양동엽
Woodwind이지영
Brass장연옥
37회이은구조영훈2022BrahmsAcademic Festival Overture, Op.80악장정수현58대
회장단
파일:KUO 37th Spring Concert poster.jpg
영상
GriegPiano Concerto, Op.162nd Vn서혜원
BrahmsSymphony No.4, Op.98Va양지수
Vc박준하
Cb
Wind김유림
Percussion
38회이은구태선이2023Mendelssohn Meeresstille und glückliche Fahrt, Op.27 악장김지윤59대
회장단
파일:KUO 38th Spring Concert Poster.jpg
영상
Mendelssohn Violin Concerto in E Minor, Op.642nd Vn심승현
TchaikovskySymphony No.1, Op.913 'Winter Daydreams' Va최선호
Vc원세연
Cb
Wind강지윤
Percussion




[1]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취소 [2]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취소


4.2. 정기연주회[편집]


[ 펼치기 · 접기 ]
지휘자협연자연도작곡가수석진회장단포스터 & 영상
39회김영언강융학2011Rachmaninoff Symphony No.2 3rd movement 악장민병문47대
회장단
영상
영상
영상
영상
영상
영상
ArutiunianConcerto for Trumpet and Orchestra 2nd Vn김규식
SibeliusSymphony No.2, Op.43Va정보나
Vc신희주
Cb김인화
WoodWind 손지현
Brass신주한
40회김영언2012Shostakovich Festive Overture in A major, Op.Shos 96악장오인규48대
회장단
영상
영상
영상
영상
영상
영상
영상
영상
Tchaikovsky Swan Lake Suite, Op.20a2nd Vn주윤아
BeethovenSymphony No.7, Op.92Va우기영
Vc권순호
Cb
Wind강은평
Percussion
41회김영언최운2013GlinkaRuslan and Lyudmila Overture 악장임종인49대
회장단
영상
영상
영상
영상
영상
영상
영상
SibeliusConcerto for Violin and Orchestra, Op.47 2nd Vn이원준
GlazunovSymphony No.4, Op.48Va이아선
Vc이지혜
Cb김조은
Wind황지영
Percussion
42회김영언윤세지2014Tchaikovsky Concerto for Violin and Orchestra, Op.35 악장서승한50대
회장단
영상
영상
영상
영상
영상
영상
2nd Vn김운경
DvořákSymphony No.9, Op.95Va신은희
Vc신원호
Cb박종선
Wind조선환
Percussion
43회김영언고영휘2015BrahmsAcademic Festival Overture, Op.80 악장김운경51대
회장단
영상
영상
BruchRomanze for Viola and Orchestra, Op.85 2nd Vn안우찬
BrahmsSymphony No.2, Op.73Va권재상
Vc안이경
Cb
Wind송원빈
Percussion
44회강창우이승현2016Tchaikovsky Eugene Onegin, Op.24 'Waltz' 악장이원준52대
회장단
영상
Tchaikovsky Piano Concerto No.1, Op.23 2nd Vn배강민
Tchaikovsky Symphony No.6, Op.74 Va이선영
Vc신지수
Cb조원준
Wind신상은
Percussion
45회최현이박경선2017Shostakovich Festive Overture in A major, Op. 96악장안예리53대
회장단
파일:KUO 45th Annual Concert poster.jpg
영상
GriegPiano Concerto in A minor, Op. 16 2nd Vn이재명
DvořákSymphony No.8 in G major, Op. 88 Va권용민
Vc김민규
Cb윤일능
Wind김동일
Percussion
46회이은구2018ProkofievRomeo and Juliet Suite No.2
‘Montagues and Capulets’, Op.64ter
악장이원준54대
회장단
파일:KUO 46th Annual Concert poster.jpg
영상
Tchaikovsky Romeo and Juliet Overture Fantasia in B minor 2nd Vn정승호
BorodinSymphony No. 2 in B minorVa김준수
Vc김지원
Cb
Wind배경훈
Percussion
47회이은구2019Mendelssohn Märchen von der schönen Melusine, Op.32 악장전영민55대
회장단
파일:KUO 47th Annual Concert poster.jpg
영상
DvořákSlavonic Dances, Op.46 (No. 1,3,6,7,8) 2nd Vn오서율
KalinnikovSymphony No.1 in G minorVa박현재
Vc장정윤
Cb전수현
Wind김우진
Percussion
48회[1]이은구박진형2020Johann Strauss II Die Fledermaus Overture 악장오서율56대
회장단
파일:KUO 48th Annual Concert poster.jpg
Tchaikovsky Piano Concerto No.1, Op.23 2nd Vn박주애
Tchaikovsky Symphony No. 5 in E minor, Op. 64 Va최동인
Vc김세준
Cb우범하
Wind이우준
Percussion
49회이은구박건우2021Shostakovich Festive Overture in A major, Op. 96악장이용정57대
회장단 [2]
파일:KUO 49th Annual Concert poster.jpg
영상
DvořákCello Concerto in B minor, Op. 104 2nd Vn김지윤
BeethovenSymphony No.7 in A major, Op. 92Va문지윤
Vc이예온
Cb이상욱
Wind허회준
Percussion
50회이은구2022SibeliusFinlandia, Op. 26악장조영준58대
회장단
파일:KUO 50th Annual Concert poster.jpg

영상
LisztLes préludes, S. 97 2nd Vn박재원
SibeliusSymphony No. 2 in D major, Op. 43 Va장우영
Vc김지윤
Cb
Wind심은정
Percussion
51회이은구이기준2023Tchaikovsky Festival Overture on the
Danish National Anthem, Op. 15 [3]
악장이경신59대
회장단
파일:KUO 51th.png

Rachmaninoff Piano Concerto No. 2, Op. 18 2nd Vn김블레싱
DvořákSymphony No.8 in G major, Op. 88 Va박진하
Vc문승기
Cb유준
Woodwind박세은
Brass김민혁
[1]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취소 [2] 57대 회장단(유준, 박진하, 김민혁, 박세은)은 각자의 이유로 동아리를 2년여간 떠나있다가, 기적적으로 51회 정기연주회에서 각 파트 수석으로서 함께 모이게 된다.[3] 한국초연



5. 정단원[편집]


정단원에 대해서는 동아리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단원 교육자료를 가져옴.


5.1. 정단원이란?[편집]


- 단칙
제3절 정단원 제7조(정단원) 다음 각호(各號) 모두를 충족하는 신입단원은 정단원이 된다. 1. 회장단이 정한 소정의 신입단원 교육과정을 이수한 사람 2. 회장단이 정한 소정의 입단비를 납부한 사람 3. 정입단원서를 작성하여 제출한 사람

- 신입단원 교육과정:
* 1학기: 신입생 환영회, 악기 설명회, 봄 엠티 中 택 2 + 집회 3회 참가
* 2학기: 정단원 교육(집회 2번으로 대체 불가능), 가을 엠티, + 집회 3회 참가
* 방학 중: SMTC, WMTC 전참
(행사가 끝난 후 준입단원서를 쓴 신입단원/ 경조사 등의 타당한 사유가 있는 신입단원은 행사 하나당 집회 2회를 더 참석해야 함.)

- 입단비 납부

- 필수 정단원 / 비필수 정단원
* 동기의 회장 임기(3학년 1학기)가 끝날 때까지 필수 정단원/ 이후, 비필수 정단원
(17년 2학기는 15학번부터 비필수 정단원)
* 비필수 정단원은 정단원의 의무를 이행하지 않아도 됨.

5.2. 정단원의 권리와 의무[편집]


- 권리

* 악기방 사용: 악기 태그 지급[13]
* 동아리방, 악기방 비밀번호

- 의무

* 정단원비 납부(한 학기에 한번씩)
* 학기말 오디션[14]: 연주회여부와 상관없이 필수정단원은 참석
* 부서활동
* 집회 3회이상 참석
* LT[15]:
연주회 여부와 상관없이 참석 (18신춘 /18정기의 경우, 16학번이상: 첫 연주회인 경 우, 17학번 모두)

5.3. 정단원 자격 상실 및 회복[편집]


- 단칙
제15조(정단원자격의 상실) ① 필수정단원 중 다음 각호 가운데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은 정단원의 자격 및 모든 권리를 자동으로 박탈 당하며, 단원명단에서 제명된다. 1. 정당한 사유 없는 집회 결석으로 인하여 1학기 중 정기집회 출석횟수가 3회에 달하지 아니 하는 사람 〈개정 2004.8.27.〉 2. 회비를 해당 분기의 말일까지 납부하지 아니한 사람 3. 정당한 사유 없이 오디션에 참석하지 아니한 사람 3의2. 우리 단 활동을 계속하지 아니할 의사를 명시적으로 표시한 사람 〈신설 2004.8.27.〉 4. 우리 단의 발전을 저해한 사람
(+ 정단원의 의무를 제대로 이행하지 못한 경우에 불이익이 발생한다.)
-연속 5회 이상의 집회 출석을 통해 정단원 자격을 회복시킬 수 있다!



6. 동아리 부서[편집]


동아리 업무는 회장단 + 6개의 부서가 맡아서 한다.
회장단은 회장, 부회장, 총무, 회계로 이루어져 있다.

- 섭외부: 연습장소 대관, 뒤풀이 장소 예약 및 관리, 엠티 및 캠프 게임 진행
- 악보부: 집회, 연주회 악보 편집, 출력 및 배부, 악보함 관리
- 관리부: 동아리방, 악기방 관리 및 청소, 비품관리
- 홍보부: 공개 페이스북 페이지 관리, 홍보물 제작, 영상촬영 및 게시
- 편집부: 연주회 포스터, 팜플렛, 현수막 편집, 애주가 제작
- 음악부: 앙상블발표회, 악기설명회, 음악세미나 주관, 캠프 음악부 퀴즈 진행

각 부서들은 부서장들이 존재한다. 부서장들 이외에도 각 악기 파트원들을 관리하는 파트장들이 존재하며 학기 중 집회를 제외한 각 소모임들을 관리하는 소모임장들도 있다.

대관 능력자를 상시 모집한다. 대관에 실패한 날이면 추운 학관 복도에서 덜덜 떨며 연습한다.

7. 모집 악기[편집]



7.1. 관악기[편집]


-목관: 클라리넷, 플룻[16] , 오보에, 바순
-금관: 트럼펫, 트'롬'본[17], 호른[18][19]
관종파트, 로얄관파트로도 불린다.
FM은 'soliste 관악기'이다[20]
금관만의 FM도 있다. 스태미나 금관~
바순만의 FM도 존재한다. Ultra Fagot

7.2. 현악기[편집]


-바이올린
FM은 'The greatest 바이올린'
-비올라
FM은 'Elite 비올라'
-첼로
FM은 'Power 첼로'
-콘트라베이스
FM은 'Lovely 베이스'

7.3. 타악기[편집]


타악기 종류는 정말 많지만 모집하는 악기는 팀파니 하나이다. 나머지 타악기는 다른 악기하는 단원들이 겸업삼아 하게된다.
타악기는 유일하게 FM이 없는 악기이다. 음탕 타악기 [21] [22] [23]


8. 졸업 후 활동[편집]


고려대학교 교우이면서 관현악단에서 연주회를 3번 이상 참여한 후 졸업하였다면 고우오케스트라의 단원으로서 활동할 수 있다. 고려대학교를 졸업하였더라도 관현악단원이 아니었다면 받아주지 않는게 원칙이다. 80번대 교우부터 10번대 교우까지 넓은 스펙트럼의 연주자가 포진해있다. 40만원의 연주회비를 매 연주회별로 걷는다.

9. 여담[편집]


코로나19 사태로 36회 신춘 음악회, 48회 정기 연주회가 연습 도중 취소가 되었고, 37회 신춘 음악회는 연습 시작도 전에 터졌다. 이후 근 2년만에 49회 정기 연주회를 올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10:36:29에 나무위키 고려대학교/동아리/관현악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연주회 영상 업로드 채널[2] 학기 중 활동 영상 업로드 채널[3] 신춘연주회가 아니라 음악회이다![4] 페이스북 소개[5] 늙은 단원들의 팝스[6] 학기중 활동 소모임들 및 따로 앙상블에 참여 하고 싶은 단원들이 악기 연주를 하는 것[7] 팝스와 정반대[8] 피아노 반주가 있는 독주회[9] 자작곡으로 발표하는 팀도 있다[10] 매번 개강 첫주 토요일이다. 개강 후에 티켓을 여러 사람 많은 곳에서 판매하니 찾아가서 티켓을 사보자[11] 2018년 정기연주회부터 새내기도 연주회에 참여할 수 있게 되면서, 낙산필은 역사속으로 사라질것으로 보인다.[12] 신춘연주회가 아니라 음악회이다![13] 악기방은 악기태그가 있는 재학생인 정단원과 해당학기 신입준단원만 사용가능하다. 따라서, 신입준단원도 해당학기가 지나면 악기를 빼야한다.[14] 그 다음학기 연주회 수석진이랑 회장단이 진행한다. 집회곡 일부를 하고 해당학기 동아리활동을 피드백 받는다. 동아리 입장에서는 연주회 참여자와 앞으로도 동아리 활동을 하려는 사람들을 파악할 수 있다.[15] 연주회 준비기간 즉 방학에 있다. 쉽게 말하면 회장단이 동아리 활동을 한지 얼마 안된 사람들과 고칠점과 불만사항을 듣고 개선점을 찾거나 설명을 해주는 것이다. 2018년 2월 LT는 장장 6시간에 걸쳐 진행되었다고 한다.[16] 클라리넷과 플룻은 별도의 오디션을 통해 한 기수에 2명씩 뽑는다[17] 사실 대부분의 사람들이 트럼본이라고 하지만 이 악기를 하는 17학번 단원이 '롬' 발음을 고집하니 뭐 어쩔수 없다. 고려대학교에서 유일한 음악교수이신 류경선 교수님조차도 '트럼본'이라고 하시지만 국립국어원에서도 트'롬'본 이라고 하니 딱히 뭐라 할 수는 없다[18] 10년에 한 명꼴로 들어오는 악기 단원이 매우 희귀하다[19] ...였으나 최근 1년에 한명씩은 들어오는 추세[20] 가끔 '술리스트'라고 외치는 단원도 존재한다[21] 수십 년 역사에 타악기 주자는 단 6명뿐이라 굳이 만들 필요성을 못 느끼고 있다.[22] 평소 타악기는 관악기내에 포함되어 같이 활동한다.[23] 당연한 얘기지만 타악기 단원 출신한테 음탕 타악기라고 말하면 엄청 싫어한다